
사실 첫번재 Spring Batch를 대형 프로젝트에 적용할 때는 기능적인 부족으로 많은 고생을 하였다. 그리고 Reader / Writer를 쓰는데는 한계가 많아서 거의 대부분의 배치가 Reader / Writer 없이 Tasklet (Reader / Writer가 없는 STEP) 에 모든 기능을 다 집어 넣는 것이였다. 1. 1.x 버전에서 대표적으로 아쉬웠던 것이 몇개 있는데 그 중 하나가 Item 기반의 처리 흐름이였다. 위의 그림이 Spring Batch 1.0의 처리 흐름인데 Item 위주로 되어 있다 보니 데이터를 읽고 쓰는 것이 껀껀이 이루어졌다. 만일 Commit Interval을 10으로 줬다면 Item을 10번 읽고 10번 Write 하는 일이 벌어진다. 이 부분을 개선한게 Sprin..

현재 몸담고 있는 회사에서 Spring Batch 버전 업그레이드를 준비중이다. 규모가 작거나 문제가 발생해도 금방 고칠 수 있다면 쉽게 진행하겠지만 그렇지 못하기에 굉장히 조심스럽게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 작업을 준비하다 보니, 예전 처음 Spring Batch를 만났을 때가 기억이 나서 블로그에 기록으로 남긴다. 1. 2007년. 벌써 14년전에 Spring Batch를 처음 대규모 업무에 적용하려고 했다. 당시 정식 버전도 아닌 베타 버전이 나왔던 때였고 거기다 배치를 자바로 한다는 것은 말도 안된다고 생각하던 때이다. 배치는 역시 C여야 한다는 시대였다. 그런데 자바에다가 Spring Batch를 적용한다는 것은 쉬운 결정이 아니였다. 처음 계획은 OLTP는 자바, 배치는 C 였지만 굉장히 어..
- Total
- Today
- Yesterday
- 백록담
- 칼라스10
- 한양도성
- 인사이트
- 자바
- 나트랑
- 이문열
- 영실
- MySQL 8.0
- TITICACA FLIGHT F8
- 제주
- 티티카카
- 호캉스
- 윗세오름
- 군산오름
- 티티카카 플라이트 F8
- 나관중
- 삼천리자전거
- 탄천
- 베이징
- 중문
- 성판악
- 빈펄 롱비치
- 삼국지
- 서울둘레길
- 한라산
- 한강
- Practical 모던 자바
- 장윤기
- 북경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